교회의 리더십
디모데전서 3:1~7 1 Timothy 3:1~7
1 미쁘다 이 말이여, 곧 사람이 감독의 직분을 얻으려 함은 선한 일을 사모하는 것이라 함이로다 1 Here is a
trustworthy saying: If anyone sets his heart on being an overseer, he desires a noble task.
2 그러므로 감독은 책망할 것이 없으며 한 아내의 남편이 되며 절제하며 신중하며 단정하며 나그네를 대접하며
가르치기를 잘하며 2 Now the overseer must be above reproach, the husband of but one wife, temperate, self
-controlled, respectable, hospitable, able to teach,
3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오직 관용하며 다투지 아니하며 돈을 사랑하지 아니하며 3 not
given to drunkenness, not violent but gentle, not quarrelsome, not a lover of money.
4 자기 집을 잘 다스려 자녀들로 모든 공손함으로 복종하게 하는 자라야 할지며 4 He must manage his own
family well and see that his children obey him with proper respect.
5 (사람이 자기 집을 다스릴 줄 알지 못하면 어찌 하나님의 교회를 돌보리요) 5 (If anyone does not know how
to manage his own family, how can he take care of God's church?)
6 새로 입교한 자도 말지니 교만하여져서 마귀를 정죄하는 그 정죄에 빠질까 함이요 6 He must not be a
recent convert, or he may become conceited and fall under the same judgment as the devil.
7 또한 외인에게서도 선한 증거를 얻은 자라야 할지니 비방과 마귀의 올무에 빠질까 염려하라 7 He must also
have a good reputation with outsiders, so that he will not fall into disgrace and into the devil's trap.
교회를 교회답게 만드는 요소 가운데 중요한 것 하나가 영적 리더십입니다. 좋은 리더십은 성경 말씀에 부합
되는 자격을 가진 사람이, 성경이 명령하는 대로 교회를 섬길 때 영적권위가 나타납니다. 교회 안에서 영적 리
더십은 감독의 직분에 주어져 있습니다. 감독은 오늘날 목사와 장로를 가리킵니다.
이 직분은 하나님이 죄 많은 인간에게 주신 가장 영광스러운 책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자
기의 피로 값 주고 사신 교회를 맡기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예수를 위해 자기를 희생하고자 하는 사람이
걸어갈 최선의 길이기 때문입니다 .
‘감독이 되고 싶으면 고상한 일을 사모하는 야망을 가져야 한다’고 합니다. 마치 감독 자리를 탐하는 야심을 정
당시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정말로 큰 오해입니다. 바울 당시, 교회의 감독은 수 많은 환난과 핍박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교회를 어지럽히는 갖가지 이단을 대적하여 자신의 몸을 던져 싸우지 않으면 안되
었습니다. 그 외에도 가난한 자들과 끊임없이 찾아오는 믿음의 나그네들을 대접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일들은
선한 일을 사모하는 자만이 헌신할 수 있는 성직의 일이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가 명심하고 지나갈 것은 지금도 목사와 장로의 직분이 가지는 성격은 초대교회와 조금도 달라지
지 아니하였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지상교회는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신정 국가였던 이스라엘에서
하나님이 원하지 않는 지도자가 권력을 잡을 수 있었던 약점과 동일합니다. 지상교회에서도 하나님이 바라지
아니하는 자가 인간적인 수단으로 감독의 직분을 맡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제 교회의 영적 리더십의 자격을 간단히 살펴 보도록 합시다. 바울 사도는 감독의 자격을 대인관계와 행위의
성격에 따라 14가지 정도 제시했습니다. 그 가운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매우 중요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 2절
후반부의 "가르치기를 잘하며" 라는 조건입니다. 이것은 성령의 은사에 해당합니다. 어느 정도 가르치는 은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교회의 감독으로는 적당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초대 교회만 해도 신학교에서 훈련을 받은 감독이 없었습니다. 누구든지 일단 감독으로 임명을 받으면 성도들
을 가르치고 양육하는 일을 맡아야 했습니다. 그러므로 감독에게는 가르치는 은사가 필수적이었습니다. 이것은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감독 중에 가르치는 일보다 다스리는 행정에 더 몰두하는 사람도 있
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가르치는 일에 손을 떼도 된다는 단서는 전혀 없습니다. 가르치는 일은 목사의
독점물이고 다스리는 일은 장로의 전매특허인양 잘못된 인상을 심어 놓은 것은 바로 한국교회 장로제도의 병폐
의 원인입니다.
실로 다스리는 장로의 사역이 말씀을 듣고 섬기는 형태의 것이 아니면 참된 영적 리더십은 세워질 수 없습니다.
바울이 에베소 장로들을 바닷가에 불러서 마지막으로 무엇을 부탁하고 떠났습니까? "너희를 주와 및 그 은혜의
말씀께 부탁하노라"(행20:32)고 하지 않았습니까?
그러면 왜 교회의 영적 리더십은 가르치는 은사를 반드시 갖추어야 할까요? 자신이 날마다 말씀 앞에서 배우고
성장하는 은혜를 받기 위해서라도 말씀으로 가르치는 사역을 담당해야 하기 때문입니다(딤후2:2). 교회 안에서
참으로 존경 받을 수 있는 리더십의 권위는 말씀을 가르치는 데서 드러나기 때문입니다(딤전5:17). 그리고 주님
이 가르쳐 주신 리더십은 종으로 섬기는 데서 그 영광이 나타난다고 했는데 말씀을 가르치면서 한 영혼을 책임
지는 것만큼 헌신적이고 진실된 종의 봉사가 없기 때문입니다(살전 2:8).
<본 말씀은 옥한흠 목사님의 설교를 요약,정리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