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 하나님의 능력
고린도전서 1:18~25 1 Corinthians 1:18~25
18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18 For the
message of the cross is foolishness to those who are perishing, but to us who are being saved it is the power of
God.
19 기록된 바 내가 지혜 있는 자들의 지혜를 멸하고 총명한 자들의 총명을 폐하리라 하였으니 19 For it is
written: 'I will destroy the wisdom of the wise; the intelligence of the intelligent I will frustrate.'
20 지혜 있는 자가 어디 있느냐 선비가 어디 있느냐 이 세대에 변론가가 어디 있느냐 하나님께서 이 세상의 지
혜를 미련하게 하신 것이 아니냐 20 Where is the wise man? Where is the scholar? Where is the philosopher of
this age? Has not God made foolish the wisdom of the world?
21 하나님의 지혜에 있어서는 이 세상이 자기 지혜로 하나님을 알지 못하므로 하나님께서 전도의 미련한 것으
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를 기뻐하셨도다 21 For since in the wisdom of God the world through its wisdom
did not know him, God was pleased through the foolishness of what was preached to save those who believe.
22 유대인은 표적을 구하고 헬라인은 지혜를 찾으나 22 Jews demand miraculous signs and Greeks look for
wisdom,
23 우리는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를 전하니 유대인에게는 거리끼는 것이요 이방인에게는 미련한 것이로되
23 but we preach Christ crucified: a stumbling block to Jews and foolishness to Gentiles,
24 오직 부르심을 받은 자들에게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능력이요 하나님의 지혜니라
24 but to those whom God has called, both Jews and Greeks, Christ the power of God and the wisdom of God.
25 하나님의 어리석음이 사람보다 지혜롭고 하나님의 약하심이 사람보다 강하니라 25 For the foolishness of
God is wiser than man's wisdom, and the weakness of God is stronger than man's strength.
예수님은 많은 사람을 위하여 자기 생명을 희생하겠다는 목적을 가지고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그리고 그 목
적을 다 이루셨습니다. 이 십자가의 메시지는 기독교가 시작되었을 당시부터 가장 먼저 전파된 하나님의 말씀
이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지 못했습니다. 지난 이천년 동안 조소를 당하기 일쑤였고 핍박을 당
하고, 생명까지 빼앗기는 일들이 자주 일어났습니다.
사도 바울은 십자가의 메시지에 대한 반응을 두 그룹으로 비교시키고 있습니다(1:18).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으로 반응이 나타나고 구원을 얻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으로 나타납니다. 왜 이 세
상 사람들에게는 십자가의 메시지가 미련하게 나타납니까? 그들은 성령을 모르는 육에 속한 사람 즉 자연인이
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만사를 이성에 따라 이해하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십자가의 메시지는 하나님 편에서 우리에게 보여주신
계시이므로 이성의 영역을 초월한 영적인 진리입니다. 그런데도 그들은 영적인 문제를 이성으로 따지고 들려는
고집을 갖고 있습니다.
십자가의 능력을 깨달을 수 있는 능력이 결여된 구체적인 모습이 어떠합니까? 이들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으
셨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조건을 달고 하나님의 일에 대해서는 사사건건 시비를 걸어야 속이 시원한 사람들입니
다. 이들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처형된 것은 인정하지만 예수님이 스스로 죽으셨다는 사실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 이들은 예수님을 죽인 사람이 빌라도요, 안나스요, 가야바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예수님을 죽인 일에 자기 자
신이 공범이라는 것은 절대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들은 예수라는 나사렛 청년이 정치범으로 십자가에 매달려 처형되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그 예수님이 하나
님이라는 것은 깨닫지 못합니다. 또한 그 청년이 정치적인 문제로 죽었다는 것은 수긍하지만 그가 인류의 죄를
씻기 위해 모든 죄를 짊어지고 돌아가셨다는 구속의 은총에 대해서는 절대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구원 받은 자들에게 십자가는 하나님의 능력으로 나타납니다. 그런데 본문에서 대조법을 쓰고 있는 바울은 미
련한 것의 반대 개념으로 하나님의 능력이라는 말씀을 사용했을까요? 바울은 십자가에 대한 하나님의 무한한
지혜를 안다는 것이 무리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능력이란 말로 대치했습니다. 능력이란 것은 느
끼고 체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성령을 받은 이유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로 주신 것들을 알게 하려 함입니다(2:12). 성령받은 사람
은 십자가를 분명히 깨닫습니다. 이 능력은 남의 이야기가 아닌 내 안에서의 능력으로 발견되어야 합니다. 참된
삶의 변화는 십자가의 능력에 사로잡힐 때, 나의 더러운 옛 자아가 깨어질 때 일어납니다. 그러므로 구원 받은
자에게는 십자가가 막연한 상식이 아니고, 날마다 듣는 상투적인 구호가 아니라 나를 변화시키는 능력입니다.
현대를 가리켜 ‘죄인들은 많지만 죄의식은 없다’고 칼 메닝거는 말합니다. 그렇지만 예수를 믿는 사람이 먼저
자신을 변화시키는 십자가의 능력을 날마다 체험하고 느끼며 보여줄 수만 있다면 이 사회는 소망이 있습니다.
오늘날 교회 안에 이 십자가의 능력이 약화되면 이 사회는 치료받을 수 없는 죄인들의 병동이 되고 말 것입니다
.
중요한 것은 그 십자가가 능력으로 역사할 수 있도록 마음 문을 활짝 열고 십자가를 바라보는 것이요, 내가 변
하는 것이요, 변화된 나를 통해 이 사회를 치료하는 것이요, 치료받은 이 나라가 하나님의 손에 쓰임받는 영광
스러운 제사장이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본 말씀은 옥한흠 목사님의 설교를 요약,정리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