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람찬 삶, 기대에 부푼 죽음
디모데후서 4:6~8
2 Timothy 4:6~8
6 전제와 같이 내가 벌써 부어지고 나의 떠날 시각이 가까웠도다
6 For I am already being poured out like a drink offering, and the time has come for my departure.
7 나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7 I have fought the good fight, I have finished the race, I have kept the faith.
8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되었으므로 주 곧 의로우신 재판장이 그 날에 내게 주실 것이며 내게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에게도니라
8 Now there is in store for me the crown of righteousness, which the Lord, the righteous Judge, will award to me on that day-and not only to me, but also to all who have longed for his appearing.
본문에서 바울은 매우 엄숙하고 뜻깊은 자리에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는 머지않아 다가올 자신의 죽음을 바라보며 지나간 생애를 또한 돌아보는 자리에 서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자신의 지나간 생애를 돌아다 보고, 또 다가올 죽음을 준비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진다는 것은 매우 복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흔히 별 생각 없이 지내다가 갑자기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 많은데 우리는 바울처럼 우리의 삶과 죽음의 경계선에 설 때, 충분히 생각해 볼 여유를 가지게 해 달라고 기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울은 이 경계선에 서서 무엇을 느끼고 있습니까? 그는 단순히 인간적인 고독감이나 비애에만 젖어 있지는 않습니다.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를 음미해 볼 때 그 말들 속에는 매우 의미심장한 내용들이 들어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6절과 8절을 살펴보면서 바울의 말들 속에 어떠한 의미들이 담겨있는지 알아봅시다.
먼저 6절을 보면 바울은 자신의 죽음을 두 가지 비유로 빗대어서 말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 첫번째 비유가 '관제'라는 말입니다.
민수기 15 : 1~10을 보면 구약의 제사에서 마지막 의식에 속하는 관제에 대해서 나옵니다. 양이나 소 등을 잡아서 제사를 지낼 때 깨끗하고 정성스럽게 담아놓은 포도주를 조금씩 조금씩 부었습니다. 바울은 여기서 자신의 생명이 이렇게 조금씩 조금씩 줄어들고있는 포도주와 같다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단순히 그것만을 뜻하지 않고 오히려 더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데, 그것은 나의 죽음은 하나님께 드려지는 향기로운 제사와 같다고 말하려는 것입니다.
바울은 자신의 삶을 하나님이 기뻐받으실 거룩한 산 제사에 비유한 적이 있습니다. (롬12:1) 이제 그는 자신의 죽음마저도 하나님께 바쳐지는 향기로운 제사로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바울이 또 하나의 비유를 들어서 자신의 죽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말 성경에는 비유라고 보기 어렵게 되어 있지만6절의 ‘떠남’ 이라는 말의 본래 단어인 'analusis' 는 비유적 표현으로 쓰이는 단언입니다. 이 단어에는 적어도 네 가지의 뜻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첫째, 소나 말과 같은 가축을 쟁기나 수레에서 풀어놓는 것을 말합니다. 하루종일 일하다가 해가 저물면 일하는 것을 멈추고 쉬게 하기 위해서 멍에나 쟁기를 풀어 주는데 이때 이 단어를 사용합니다.
둘째, 이 단어에는 오랫동안 감옥에서 착고나 족쇄를 차고 있던 죄수가 석방 명령을 받고 그것들을 푼다고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따라서 바울이 본문에서 떠난다고 말하는 것은 자유를 얻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죄수가 쇠사슬을 푸는 순간의 그 감격, 그 자유감을 바울은 자신의 죽음에 비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셋째로 이 단어는 여행을 하는 나그네가 여행을 끝내고 집에 돌아가기 위해 임시로 쳐놓았던 텐트의 끈을 푸는 행위에도 사용합니다. '텐트의 끈을 푼다'는 것은 고통스럽던 나그네 생활을 끝내고 이제 집으로 돌아간다고 하는 귀향을 의미합니다.
넷째, 지루하게 정박해 있던 배의 로프를 끊는 행위를 말할 때도 이 단어를 사용합니다. 오랫동안 항구에 정박해 있던 배가 이제는 기대에 부풀어서 로프를 끊고 저 넓고 깊은 바다를 향해 출범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오직 믿음의 눈을 통해서만 가질 수 있는 인식입니다.
이제 8절에서 바울이 무엇을 말했는지 살펴 봅시다. 그는 자신의 죽음 저편에 '의의면류관' 이 기다리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 면류관은 바울 자신에게 만이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에게' 주실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여기 '주를 바라는 자들' 이란 단순히 '교회 다니는 자들'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그럼 누가 그 의의면류관을 얻을 수 있는 자들일까요?
7절에서 바울은 자신의 삶의 이력서를 세 가지 문구로 요약해 주고 있는데 그것은 선한 싸움을 싸운 것, 달려갈 길을 다 달려간 것, 그리고 믿음을 지킨 것을 말해 주었습니다. 그는 정말 주님이 자기에게 맡겨주신 일들을 위하여 죽도록 충성하였으며 시종일관 변함이 없었고 특히 무서운 핍박과 환란 속에서도 주님을 신뢰했다고 증거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와 같은 삶을 산자들이 의의 면류관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 세 가지의 조건들은 바울의 생애를 보람으로 가득차게 하였고 다가오는 죽음을 기대에 부푼 채 맞이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따라서 어떻게 살았는가가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결정하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보람찬 삶이 기대에 부푼 죽음을 안겨줄 수 있음을 알고 지금 나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를 다시 한번 살펴보아야 하겠습니다.
<본 말씀은 옥한흠 목사님의 설교를 요약,정리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