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카페/쉬지말고기도

하나님의 심정을 깨달읍시다

미리내꿈 2011. 3. 19. 09:11

본문말씀
 
누가복음 15:11-24   Luke 15:11-24
11 또 이르시되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   11 Jesus continued: 'There was a man who had two sons.
12 그 둘째가 아버지에게 말하되 아버지여 재산 중에서 내게 돌아올 분깃을 내게 주소서 하는지라 아버지가 그 살림을 각각 나눠 주었더니   12 The younger one said to his father, 'Father, give me my share of the estate.' So he divided his property between them.
13 그 후 며칠이 안 되어 둘째 아들이 재물을 다 모아 가지고 먼 나라에 가 거기서 허랑방탕하여 그 재산을 낭비하더니   13 'Not long after that, the younger son got together all he had, set off for a distant country and there squandered his wealth in wild living.
14 다 없앤 후 그 나라에 크게 흉년이 들어 그가 비로소 궁핍한지라   14 After he had spent everything, there was a severe famine in that whole country, and he began to be in need.
15 가서 그 나라 백성 중 한 사람에게 붙여 사니 그가 그를 들로 보내어 돼지를 치게 하였는데   15 So he went and hired himself out to a citizen of that country, who sent him to his fields to feed pigs.
16 그가 돼지 먹는 쥐엄 열매로 배를 채우고자 하되 주는 자가 없는지라   16 He longed to fill his stomach with the pods that the pigs were eating, but no one gave him anything.
17 이에 스스로 돌이켜 이르되 내 아버지에게는 양식이 풍족한 품꾼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여기서 주려 죽는구나   17 "When he came to his senses, he said, 'How many of my father's hired men have food to spare, and here I am starving to death!
18 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르기를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18 I will set out and go back to my father and say to him: Father, I have sinned against heaven and against you.
19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하리라 하고   19 I am no longer worthy to be called your son; make me like one of your hired men.'
20 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20 So he got up and went to his father. 'But while he was still a long way off, his father saw him and was filled with compassion for him; he ran to his son, threw his arms around him and kissed him.
21 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21 "The son said to him, 'Father, I have sinned against heaven and against you. I am no longer worthy to be called your son.'
22 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22 "But the father said to his servants, 'Quick! Bring the best robe and put it on him. Put a ring on his finger and sandals on his feet.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3 Bring the fattened calf and kill it. Let's have a feast and celebrate.
24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24 For this son of mine was dead and is alive again; he was lost and is found.' So they began to celebrate.
 
말씀묵상
 
  본문은 세 가지 장면이 나옵니다. 첫 번째 13절, 아들은 아버지가 자기를 옥죈다고 생각했습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아버지 밑에서는 자유가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재산 다 달라고 했습니다. 아버지 품을 떠나서 아버지가 미치지 못할 곳으로 멀리 갔습니다. 거기서 그는 돈의 소중함을 모르고 그냥 물 쓰듯 써버렸습니다. 그런데 한계가 찾아왔습니다. 어느 날 돈도 다 떨어지고 몸 아프고 어떻게 할 길이 없었습니다. 결국에는 돼지를 치면서 돼지가 먹는 쥐엄 열매로 연명을 하는데 그것 조차 먹을 게 많이 없게 되었습니다. 드디어 이 순간 그가 추구한 자유의 실체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자기는 자유함을 위하여 나왔다고 생각했는데 실체를 경험하니까 완전히 자유가 없어져버렸습니다. 빈 지갑과 빈 배를 움켜잡고 텅 빈 인생의 현실에 몸을 떨어야만 했습니다. 이것이 첫 번째 장면입니다.


두 번째 장면은 17절부터 21절까지 나옵니다. 먼 나라 돼지우리에서 깊은 깨달음을 받는 장면입니다. 영어로 he can to his sense. 정신 나갔다가 정신 돌아왔다는 뜻으로 자기 주제 파악이 됐다는 것입니다. 드디어 자기의 문제가 무엇인지, 욕망이라는 것은 만족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자기 고향집을 그리워합니다. 아버지가 그리웠습니다. 혼자 있는 게 싫었습니다. 그래서 17절에 있는 것처럼 스스로 돌이켜서 네 가지를 깨달았습니다.

첫 번째 자기가 찾았던 것은 자유가 아니라 자유한 것처럼 보이는 쇠사슬이었습니다. 자유가 하나도 없다는 것을 절감하게 된 것입니다. 두 번째 깨달은 것은 과거의 그의 물질, 옷, 마시는 것, 심지어 몸조차 아버지께로 받은 것임을 깨달았고 자기 손으로 벌고 수고해서 얻은 것은 아무 것도 없는 것임을 알았습니다. 과거에 자기가 갖고 있던 모든 좋은 것들 누렸던 것 이 모든 것들이 다 아버지의 것임을 철저하게 깨달았습니다. 세 번째로 깨달은 것은 자기가 지금 원하는 것이 아버지 집에 있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아버지 집에 있을 때 꿈도 꿀 수 있었고 아버지 집에 있을 때 건강함과 순결함도 보장될 수 있었고 아버지 집에 있을 때 그가 필요한 모든 것들이 아버지 곁에 있었습니다. 네 번째 깨달은 것은 이제 더 이상 아버지 앞에서 아들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둘째 아들은 아무런 변명도 못하고 자신은 아무런 권한도 없고 아버지 처분에만 맡기겠다는 이런 각성이 들게 되었습니다.

세 번째 장면이 오늘의 클라이맥스이기도 합니다. 멀리 지평선에 이 아들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을 동구 밖에서 기다리던 아버지가 보고 달려가서 입을 맞췄습니다. 탕자가 엎드려 용서를 빌기도 전에 그 탕자를 끌어안고 꾸중하지 않고 반겨주고 잔치를 벌였습니다. 여기서 한 번 생각해보십시다. 아버지는 자식이 돌아 온 그 상황에 대해서 기쁨을 제한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느끼는 은혜가 하나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모든 것들이 다 정리되고 회개하고 주님 앞에 돌아와야 주님이 기뻐하실 것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사실 우리 아버지 심정은 돌아가기만 하고 아버지 앞에 얼굴만 내밀어도 기뻐하시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미리 기뻐하실 준비가 다 되어 계시는 것입니다. 이것이 복음입니다.

드디어 탕자가 준비해 온 사과문을 발표합니다. 21절에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라고 고백합니다. 이 심정을 아시겠습니까? 탕자가 그 말을 하기 전에 아버지는 세 가지를 했습니다. 먼저는 22절에 제일 좋은 옷을 입혀 아들의 신분을 회복시켰습니다. 그 다음 손에 가락지를 끼워 아들에 대한 권위를 인정했습니다. 그 다음에 살진 송아지를 잡아 잔치했는데 이것은 아들이 돌아온 것에 대한 기쁨을 말할 수 없이 표현하는 것입니다.

아버지는 무엇 때문에 세 번째 장면에서 이렇게 기뻐합니까? 24절에 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다. 또 잃었다가 다시 얻었다고 말합니다. 이 아버지의 심정을 이해하시겠습니까? 아버지는 아들을 보내놓고 고통의 나날이 시작되었습니다. 아들을 생각하며 눈물로서 밤을 지새운 것입니다. 어느 날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허랑방탕하다가 돼지우리에서 돼지를 치고 있다는 소식이 들어왔을 때 얼마나 마음이 아픈지. 그 아버지의 고통스러운 짐을 여러분들이 이해할 수 있겠습니까? 이것이 아버지의 심정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이런 아버지의 심정을 우리에게 보여주시려고 이 비유를 말씀하셨습니다. 이 비유에 예수님의 십자가가 담겨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십자가라는 말 자체는 이 안에 없습니다. 하지만 매일매일 동구 밖에 나가서 아들을 기다리는 아버지의 찢어진 가슴 속에 매일 아들을 위하여 애가 타는 아버지의 뜨거운 눈물 속에 십자가가 담겨있다고 믿습니다. 십자가는 우리의 반역과 범죄 때문에 찢어진 하나님의 가슴을 상징합니다. 이런 차원에서 십자가를 우리가 지은 형벌 때문에 하나님이 화가 나셔서 그 하나님의 진노를 달래기 위한 수단으로만 십자가를 생각한다면 그것은 아버지의 심정을 다 못 깨달은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적용입니다. 용서받은 탕자가 어땠겠습니까? 아버지와 함께 잔치하는 즐거운 와중에 시간을 내어 개인적인 시간이 되었을 때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요? 너무너무 감사해서 죽고 싶었을 것입니다. 아버지의 사랑이 절절히 깨달아졌을 것입니다. 두 번째, 너무나 아버지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는 자기의 큰 죄성에 대한 깊은 각성이 있었을 것입니다. 세 번째, 탕자의 마음속에 새로운 각오가 생겼을 것입니다. 쉽게 말해 그 인생의 목표가 180도 바뀌게 된 줄로 확신합니다. 바로 이러한 깨달음이 왔을 때 그것을 보고 거듭났다, 중생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거듭났다는 말과 회개했다는 말은 같은 말입니다.

탕자는 이 심정을 깨닫고 난 다음 과거와 비교해 보았습니다. 아버지와 함께 살았지만 그것은 아버지를 안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지금 돌아와 깨어지고 죄에 대해서 감사에 대해서 삶의 목표에 대해서 새로워지고 나니까 그때야 비로소 아버지의 심정을 알게 된 것입니다. 거듭난다면 단순히 돌이키는 것이 아니라 진정 거듭나는 것은 하나님 아버지의 기다리는 아버지의 상처받은 아버지의 심정을 깨닫는 것이야 말로 신앙의 깊은 은혜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을 말씀합니다. 두 종류의 인생 밖에 없습니다. 죄의 노예가 되어 살 것인가? 아니면 하나님의 사랑에 포로가 되어 하나님의 자녀로 살 것인가? 아버지의 심정을 깨닫고 기쁨과 감격의 세계에 이론이 아닌 실체로 접근하고 확인될 수 있는 귀한 삶을 살아드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본 말씀은 오정현 목사님의 주일설교(2007.10.14)를 요약, 정리한 것 입니다>

'운영카페 > 쉬지말고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라는 이름  (0) 2011.03.19
과거도 행복한 남자  (0) 2011.03.19
자녀를 위한 기도  (0) 2011.03.18
감사기도  (0) 2011.03.18
중보기도의 힘  (0) 201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