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카페/쉬지말고기도

대표기도의 정의/기도의 어원

미리내꿈 2011. 3. 19. 18:23

    기도의 어원 ①구약에 나타나는 용어 구약 성경에서 기도란 의미로 일반적으로 사용된 용어는 팔랄로서 그 의미는 기도하다, 간섭하다, 판단하다, 중재하다, 간청하다이다(창20:7, 민11:2, 신9:20) 그 명사형 테필라는 시편에서 기도라는 제목으로 사용되었다 (시17, 86, 90, 102, 142편) 그리고 하나님의 이름을 찬양하거나 기원함에 있어서 하나님을 향한 부름에는 카라가 사용되었고(신4:7, 시116 :2) 요구하다, 기원하다. 또는 하나님의 계시를 묻다에는 샤알이 사용되었으며(시27:4, 122:6, 민27:21, 수 9:14 ) 요구 또는 중재로서의 탄원은 파가란 단어로 묘사 되었다 (렘7 :16, 사53:12, 59:16 ) 그리고 다른 사람의 얼굴을 즐겁게 하기 위해서 화를 진정시키거나 은혜를 구할 때는 할라가 사용되었고 (출32:11, 71 119 : 58) 사람이 무엇이 필요해서 부르짖을 때는 자아크가 쓰였으며 (삿3:9, 시22:5) 소리치다라는 의미로 달리 쓰인 말은 라난으로 기쁠 때와 비탄의 때에 함께 쓰여 크게 부르짖는 외침을 의미했다 (시17:1, 렘31:12, 애2:19) 특히 솔로몬이 기도할 때 하나님의 은혜를 간곡히 애원하는 데는 하난이 사용되기도 했고(왕 8:33, 47, 59, 시30:8) 그 밖에 도움을 청하여 부르짖다는 뜻으로 샤와와 판하다라는 뜻의 샤하르가 있다. ②신약에 나타나는 용어 신약 성경에서 일반적으로 기도란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는 명사 프로슈케와 동사 프로슈코마이로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서 가장 빈번히 발견 되는데 하나님께 간구하는 경우에 사용되었고(마23:14, 12:40, 행10:9, 눅1:10, 3:21. 5:16) 데에시스, 데오마이란 용어보다 더 신앙적인 것이다. 데에시스, 데오마이도 요청하다, 바라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나 (눅2:37, 5:33, 눅21:36, 행8 :22, 10:2 ) 반드시 하나님을 향하여 쓰이지는 않았다. 요한복음에서는 기도라는 의미로서 주로 아이데오란 동사가 사용되었는데 이 말은 사람이나 하나님께 간청하는데 두루 쓰인다. 중재, 중보하다라는 의미의 엔퉁카노도 기도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는데(롬8:27, 34, 71 7 :25) 간흑 법적인 청원의 의미로도 사용되곤 했다(행 25 :24) 이상에서 고찰해 볼 때 성경에 나와 있는 기도에 관한 모든 언급들을 포괄할 수 있도록 한마디로 정의(定義)를 내리기는 힘겹다. 다만 기도를 가리키는 전칭적 용어들 속에 나타난 의미만으로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도는 인격적 접촉의 창조라는 수단에 의하여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본질과 방향에 영향을 주기 위해 시행되는 것이다.